본문 바로가기

토지투자의 가치

(4)
[#9. 농지연금] 농지연금 신청자격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농지를 소유하고 있지만 농사 외에는 별다른 소득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국가에서는 이러한 고령 농업인의 노후를 보장하기 위해 농지연금제도를 실시하고 있는데, 이 제도는 토지경매 투자자에게도 아주 좋은 기회가 된다. 농지연금제도는 2011년에 도입되었다. 이 제도는 농업소득 외에 별도의 소득이 없는 고령 농업인이 소유하고 있는 농지를 담보로 제공하고, 노후생활자금을 매월 연금방식으로 지급받는 제도다. 도시에는 주택연금, 시골엔 농지연금이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하지만 주택연금에 비해 농지연금 가입자 수는 그리 많지 않다. 2018년까지 누적 가입자 수는 11,283명이 전부다. 실제 가입자가 1%도 안 된다. 그 이유는 농지를 시세보다 낮게 평가하기 때문이기도 하고, 농민들 ..
[#1. 토지투자 시작하기] 토지투자에 대한 오해 ① 오해 1. 토지 투자는 무조건 장기 투자다? 답은 '그렇지 않다'다. 토지 가격이 상승하는 메커니즘을 살펴보면 토지를 매수한 후에 세월이 지나 주변에 *개발사업이 진행되면 토지 가격이 올라간다. (*개발사업 : 산업단지나 물류단지 조성, 대규모 주택단지 건설, 행정타운 조성사업 등) 이러한 개발사업이 완료되면 그 지역 일대에 인구가 증가하고 그 효과가 토지가격 상승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토지가격이 상승하려면 세월이 흘러야 하고 자연스레 토지 투자는 장기 투자라는 인식이 굳어진 것이다. 하지만, 경매 물건 중에는 조금만 깊게 조사해보면 단기간에 꽤 괜챃은 수익을 만들 수 있는 경우도 있다는 것도 있다. 매수자가 이미 정해져 있는 경우라면 매수한 즉시 매도할 수 있는 토지가 바로 그런 경우이다. 공공기관..
[#1. 토지투자 시작하기] 토지투자의 이유② '조물주 위에 건물주'라는 우스갯소리가 유행처럼 번지면서 부동산 경매학원은 퇴근 후 강의를 들으러 오는 직장인들로 북적인다고 한다. 특히 최근에는 2,30대의 젊은 나이에 부동산 학원에 다니며 착실히 '건물주'가 될 준비를 하는 청년들도 적지 않다. 하지만 이들 중에서 재미를 보는 사람은 극소수다. 투자할 수 있는 금액이 적기도 하지만 대부분 투자자들이 아파트나 빌라 등 주거용 부동산에 쏠리고 있어 경쟁이 심하기 때문이다. 요즘은 저금리의 영향과 정책의 규제로 인하여 이래저래 경매 시장에서 괜찮은 물건을 낙찰받는 것은 점점 힘들어 지고 있는 상황이다. 전체 경매 인구 중 열에 아홉은 주거용과 수익형 부동산에 몰두하고 있다. 그러나 2018년도 경매사건 비율을 보면 전체에서 토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무려 4..
[#1. 토지투자 시작하기] 토지투자의 이유① ① 수익성이 높다.지난 50년간 우리나라의 땅값은 약 3,000배 올랐다. 농사만 짓던 땅이 개발되면서 실제 토지투자로 부자가 된 사례가 그렇게 많은 것은 우연이 아니다. 이에 반해 아파트 가격은 상대적으로 적게 올랐다. 비싼 아파트의 대명사인 압구정 현대아파트는 1975년 분양가가 1,416만 원이었는데 2018년 시세는 34억원 이상이다. 240배쯤 오른것이다. 물론 적게 오른 것은 아니지만 토지 평균 가격상승률의 1/10밖에 안 된다. 객관적으로 토지만큼 높은 수익을 올리 수 있는 부동산은 없다.(참고자료 : 표_하단)지목1964년(원/제곱미터)2013년(원/제곱미터)가격상승(배)답32.347,8671,482전44.643,269971대지389.3898,9482,309임야3.67,4782,077공장용..